개인사업을 운영하며 매출일지 작성은 필수이다. 특히 1인 기업이나 프리랜서의 경우, 꼭 작성을 해두어야 분기별 매출금액과 매입금액, 그리고 세금계산서는 발행했는데 아직 못 받은 대금이라던지, 부가가치세 납부 시에 어느 정도 예상되는 금액이 나올지 등 한눈에 볼 수 있게 정리해 두어야 추후에 헷갈리지 않으니 양식은 필수이다. 필자가 사업시작을 한 뒤로부터 계속 써오던 양식을 공유하니, 각자의 사업에 맞게 고쳐나가거나 디자인을 하는 1인 기업이나, 개인사업자, 프리랜서들은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매출 일지 양식 사용법
하단의 이미지를 참고하여 번호대로 설명을 해두었으니 참고바란다. 누군가에게는 부족할 수 있지만, 누군가에게는 시간을 줄여줄 수 있는 좋은 기회이길 바라며 작성하였으니, 본인의 입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면 좋을 듯하다.
(이미지는 클릭하여 크게 보자!)
*참고 : 신규 프로젝트 추가 시 엑셀에 함수가 걸려있기 때문에, 기존 프로젝트 중 한 행을 전체 복사하여 우클릭을 한 후 복사한 셀 삽입을 해서 신규 추가를 하자. 그래야 합계금액이나 부가세 금액, 미입금액 등이 양식 그대로 나온다.
- 프로젝트명 : 말 그대로 해당 프로젝트 명(견적서 작성 시 써두었던 프로젝트명)을 써주면 된다. 헷갈리지 않도록 견적서 작성했던 그대로의 내용을 복사 붙여 넣기(Ctrl+c, Ctrl+v) 하는 게 좋다.
- 견적일 : 해당 프로젝트의 견적서 작성일을 써주자. 비슷한 프로젝트나 동일 프로젝트를 분기별로 하는 경우에는 헷갈릴 수가 있다. 또한 이전 견적서의 금액을 찾기 위해 프로젝트명을 검색한 후 견적서를 열어보는 일도 잦기 때문에 써두는 게 좋다. 양식은 오늘이 4월 6일이라면 4/6 이렇게 쓰면 바로 년도와 날짜가 입력이 된다.
- 회사명 : 해당 프로젝트의 회사명도 써주자. 회사마다 대금입금일이 다르기 때문에 회사명을 써두고 예상입금일을 쓰는 경우가 많다.
- 견적가(vat 불포함) : 원래는 미입금액을 계산하기 위해 견적가를 부가가치세 포함하여 써두는 게 제일 좋은데, 우측에 보면 부가세만이라는 항목이 별도로 있다. 저 돈을 계속 입금하는 것이기 때문에 필자는 견적서를 vat포함이 아닌 vat 별도로 자주 넣어서 헷갈리지 않게 vat 불포함으로 쓰고 있지만(vat 포함가로 넣었을 때 네고를 해달라고 할 경우, 금액이 딱 떨어지지 않게 되어서 부가세 계산하기가 너무 힘들다.. Vat 포함으로 요구하는 곳만 견적서를 그렇게 보낸다) 자신의 상황에 맞게 바꾸어서 조정하면 된다. 다만 현재 엑셀파일에 세금계산서 금액이 우측의 부가세가와 더해져서 나오는 엑셀 형식이라, 이대로 사용하는 걸 추천한다.
- 통장입금 : 말 그대로 통장에 입금이 얼마가 되었는지, 언제 입금되었는지 메모해 둔다. 부가세를 빼먹고 입금하는 업체도 더러 있고, 본인이 입금날짜가 언제였는지 체크해 볼 때도 많기 때문에 메모해 두는 게 좋다.
- 세금계산서(vat포함) : 이것도 마찬가지로 견적가를 넣으면 자동으로 부가세와 세금계산서 vat 포함 금액이 자동으로 계산되어 나온다. 계산서 발행일을 메모해 두는 것도 추후에 확인할 때 도움이 되니 꼭 메모해 두자.
- 제작비(vat 포함) : 해당 프로젝트에서 매입금액(제작비 또는 이 프로젝트를 위해 사용한 금액)을 메모하는 곳으로, 추후 부가세 신고할 때에 참고가 되며 어느 정도로 제작비가 지출이 되어 견적가 대비 순수익이 어느 정도인지 유추해 볼 수 있다.
- 예상입금일 : 이건 기업마다 다 틀리므로, 어음 결제도 있고 금액에 따라 한 달이 걸리는 곳도, 두 달이 걸리는 곳도 있어서 메모해 두어야 나의 자금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메모해 두는 게 좋다.
- 부가세 정리 : 부가세는 별도로 입력할 필요 없이 견적가를 입력하면 그에 따른 10%의 금액이 자동으로 입력된다. 추후 부가세 금액이 어느 정도인지, 분기별로도 파악이 가능하며 부가세통장을 이용하는 경우 해당 프로젝트의 견적가 중 부가세를 언제 예금에 입금했는지도 메모해 두면 좋다.
- 미입금액 : 통장에 입금된 전체 금액과, 세금계산서 상의 전체 금액을 빼서 현재 미입금된 금액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계산해 둔 곳이다. 자동으로 계산이 되니 별도로 만질 필요는 없다.
- 부가세의 전체 합계금액이며, 분기별로 부가가치세 세금이 어느 정도인지 유추해 볼 수 있다.
사실 이렇게 까지 해야 하나 싶은 사람도 있을 거고, 이 부분은 이렇게 수정해서 쓰면 좋겠다 싶은 사람도 있을 것이다. 본인의 상황과 여건에 맞게 수정해서 사용하면 좋을듯하다. 안 쓰는 것보다 한눈에 파악할 수 있을 정도로 써두면, 추후 세금문제나 여러 문제들을 대비할 수 있으니 꼭 사용하길 바란다.
'창업에 필요한 A-Z'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래명세표(거래명세서) 작성하는 법, 무료 양식 공유! (0) | 2025.04.11 |
---|---|
개인사업자, 부가세 줄이는 방법! (부가세 공제 항목 총정리) (0) | 2025.04.10 |
사업용 신용카드, 홈택스에 등록하고 세금 신고 간편하게! (0) | 2025.04.08 |
개인사업자, 분기별 세금 정리 및 신고 루틴(feat. 엑셀파일 공유) (0) | 2025.04.05 |
기업 신뢰도 향상, 회사 견적서 양식 무료 공유! (0) | 2025.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