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절세 4

연금저축 vs IRP, 뭐가 다른 걸까? 어떤 것 부터 가입해야 할까? 차이점과 가입 순서 정리!

"열심히 일해서 번 돈, 어떻게 하면 좀 더 똑똑하게 굴려서 노후까지 든든하게 만들 수 있을까?" 이런 생각 해본 적 많을 것이다. 특히 우리처럼 회사가 아니라 스스로의 힘으로 벌어먹고 사는 프리랜서, 1인 기업은 더더욱 노후 준비에 신경 써야 한다.그럴 때 빼놓을 수 없는 게 바로 '연금저축'과 'IRP(개인형 퇴직연금)'다. 둘 다 세액공제 혜택이 엄청나서 절세는 물론이고 노후 대비까지 한 번에 할 수 있는 이득 상품인데, 뭐가 뭔지 헷갈리고 둘 중에 뭘 먼저 가입해야 할지 고민될 때가 많을 것이다.그래서 오늘은 이 두 가지의 핵심적인 차이점부터, 내 상황에 맞는 선택은 뭔지까지 아주 쉽고 명확하게 알려주려한다. 연금저축 vs IRP, 핵심 비교우선 표로 두 가지를 명확하게 비교해보았다. 명확한 차이..

월 소득 1,000만원 미만인데 세금 안 내도 되나요? 프리랜서 & 1인 기업, 절세 궁금증!

"나는 아직 수입이 많지 않은데, 소득세 내야 하나요?" "누가 그러던데, 연 소득 1,000만원 이하면 세금 안 내도 된다던데, 진짜예요?" 우리 프리랜서, 1인 기업 사장님들이라면 한 번쯤 해봤을 법한 질문이다. 이 질문에 대한 정확한 답은 "아니요, 무조건 세금을 안 내는 건 아니에요! 하지만 세금을 낼 필요가 없을 수도 있어요!" 핵심은 '소득'의 종류를 구분하는 것우리가 흔히 말하는 "소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눠서 봐야 한다.수입금액 (매출액): 내가 한 달 또는 1년 동안 벌어들인 총 수입이다. (예: 디자인 작업비 총 1,000만원)소득금액: 수입금액에서 사업에 필요한 경비(전기세, 통신비, 재료비 등)를 뺀 금액이다. 이게 바로 세금을 계산하는 데 기준이 되는 '실질적인 소득'이라고 볼 ..

[디자이너, 창업 시작하기] STEP 4. IRP퇴직연금, 절세와 노후 준비까지!

IRP 퇴직연금도 노란우산공제와 비슷한 맥락이다. 사실 이 부분을 은행에서 먼저 추천해 주셔서 고민하게 되었었는데, 불안정한 프리랜서나 우리처럼 디자인 수주를 받는 디자인 사업은 노후 준비랄게 딱히 없다. 그렇다고 이율이 적은 적금을 계속 부을 수도 없는 노릇이고, 시간 투자를 해서 주식이나 채권 등 다른 투자를 하기에는 업무량으로도 벅차다. IRP 퇴직연금은 연간 최대 1,80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으며, 납입액의 16.5%에 해당하는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1,000만 원을 납입한 경우에는 165만 원의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으므로 굉장히 큰 절세 효과를 누릴 수 있다.  IRP퇴직연금, 가입대상은?원래 직장 다닐 때 가입했던 사람도 더러 있다. 2017년 이전까지는 근로자만 가입..

[디자이너, 창업 시작하기] STEP 3. 노란우산 연금공제, 복리 이자에 절세 혜택까지!

이 전 개인사업자 통장 만들기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은행 직원이 추천한 상품이 있었다. 단순히 상품을 팔려고 하는 줄 알았는데, 사업 6년차인 시점에서 노란 우산과 개인연금(IRP) 두 가지는 굉장히 도움이 많이 되고 있다. 노란우산공제란?노란우산은 지나가다 오며 가며 광고를 꽤 본 적이 있다. 개인사업자가 추후 폐업이나 노령 등의 생계 위협이 생겼을 때에 생활의 안정, 사업재기의 기회를 노릴 수 있도록 하는 한마디로 말해 "개인사업자 퇴직금"같은 제도인데, 이게 세금 절세 혜택까지 준다. 실제로 사업자는 근로자에 비해서 세금을 절세받을 수 있는 혜택들이 별로 없다. 그래서 이런 제도가 있다면 눈에 불을 켜고 하는 게 맞다. 예를 들면 근로자일 때는 주택청약통장도 소득공제가 되었었는데, 사업자는 되질 않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