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창업에 필요한 A-Z

용역 계약서(아르바이트, 임시 고용직) 양식 공유!

by businessDesign 2025. 4. 15.

필자는 1인 기업이자 프리랜서 개념이라 직원을 쓰지 않고 있다. 다만 가끔 업무가버거울 때나, 내가 할 수 없는 영역의 일이 협업으로 들어올 경우, 아르바이트나 임시고용직을 사용할 경우가 있는데 이때엔 원천징수세 3.3% 신고하는 것 외에도 꼭 해야할게 있는데 그게 바로 용역계약서 작성이다.

 

 

용역 계약서, 작성해야 하는 이유

거래처와 업무를 시작할때에도 납품 전에선금을 받고 잔금을 받는 식으로 진행하는 계약서를 작성하는 것처럼, 내 회사의 일을 해주는 아르바이트나 임시고용직에게도 일한 돈을 받을 수 있다는 계약서가 있어야한다. 또한 용역 계약서 상에 회사의 기밀 사항이나,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비밀유지가 있을 경우에도 계약서에 명시하여 추후에 문제가될 것을 막아주고, 필자의 회사처럼 디자인회사의 경우에는 디자인 작업 시 저작권이 귀속되며, 다른 업체에 동일한 디자인으로 납품할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다는 등의 내용들을 작성해 주어야 서로간에 얼굴 찌푸릴일이 없기 때문이다.

 


 

용역 계약서, 작성 방법

갑과 을을 명시해주고, 작업 프로젝트의 상세한 내용(작업자가 해야할 업무를 상세히 써주는게 좋다)과 계약기간, 보수, 작업시간, 특약이 있다면 특약사항까지 입력 후 출력하여 서로 도장을 찍고 계인 및 간인하는게 좋다. 아래 내용을 확인하여 임시 고용직이나 아르바이트를 채용하게 된다면 참고하여 사용하면 된다.

 

필자가 제공하는 양식은 디자인 관련 업무에 해당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다른 업종이라면 자신의 업종에 맞는 작업 내용 및 특약내용으로 대체하여 사용하면 된다.

 

 

1-용역-계약서

 

2-용역-계약서

 

  1. 프로젝트명을 넣어주면 된다.
  2. 본인의 회사명을 넣는다.
  3. 본인의 이름(대표자 이름)을 넣는다.
  4. 고용자의 이름을 넣는다.
  5. 해당 프로젝트에서 고용자가 진행할 주 업무와, 작업 형식에 대해 서술한다.
  6. 계약 기간을 상세히 명시한다.(필자는 계약일로부터 15일이라고 했지만, 디자인특성상 최종 납품까지가 정확한 날짜를 잡을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업종별로 상이하니, 정확한 날짜를 명시해주는게 더 옳다.)
  7. 보수 금액 및 보수 금액에서 원천징수 공제 후 제공한다는 내용을 작성하는 부분이다. 고용자의 계좌정보도 입력한다.
  8. 작업 시간은 실제로 업장에 와서 고용자가 작업을 하다가 갈수도 있고, 여러가지의 경우의 수가 많다. 디자인의 경우에는 디자인 완료만 되면 되기때문에, 기업이 요구하는 시점 등 유동성있게 조율한다고 적어두었다.
  9. 작업내용은 최대한 상세히 써주는게 좋다. 고용자를 고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했을때 추후 생기는 여러가지 문제들을 미리 생각해두고 여기에다 상세히 써주는게 좋다. 디자인관련 업무는 디자인을 거래처에 넘기면 저작권이 귀속되고, 여러가지의 저작권문제가 많기때문에 저작권 내용이 거의 많다. 또한 비밀 유지나, 작업물의 납품방법 등을 상세히 써주는게 좋다.
  10. 계약해지의 사유는 정말 지금 필자가 작성해 둔 이유 외에는 딱히 없으니 저정도로 충분하다. 다만 특정 업종에서 추가할 내용이 있다면 추가하면 좋다.
  11. 특약사항의 경우, 작업내용 등 다른 항목에서보다 제일 우선시 되는 계약의 효력부분이다. 그래서 정말 중요한 내용을 여기에 한번 더 명시하거나, 다른 곳에 명시하지않고 특약 부분에 넣어주는 게더 좋다.
  12. 아래 계약일자와 주소, 이름, 날인 등 해주면 된다.(이 부분은 실제로 출력해서 계인 및 간인, 날인까지 하는게 좋다.)

 

business-Design-용역-계약서-무료-공유.hwp
0.04MB

 

 

 

 

 

아무리 친한 사람이라도 계약서는 꼭 작성해서 협업을 하는게 좋다. 추후 불미스러운일이 생기더라도 효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서류를 증빙하는 것이 회사 운영의 원칙이다.

 

 

메인-이미지